김영감의 영감노트
[PMB 8기] 나의 JTBD를 통해 본 모두의주차장 본문
1. 나의 드라이빙 라이프를 바꾸어 준 '모두의 주차장'

나는 대학생 때부터 운전을 했었다. 차를 워낙 좋아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대학생에게 자동차 유지란 매우 힘든 것이었다. 보험비부터 기름값까지, 돈이 줄줄 샌다는 표현이 딱 맞을 정도였다. 특히 가장 아까웠던 돈은 주차비였다. 서울권에 주차자리 찾기란 하늘의 별따기와 같다고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스트레스가 쌓이다 보니 아예 주차자리가 없는 곳은 약속 장소로 잡지 않는 습관이 생겼었다. 그런데 모두의 주차장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주차에 대한 스트레스를 정말 많이 해결할 수 있었다.
모두의 주차장은 어떻게 나의 스트레스를 해결해주었을까? 오늘은 나를 인터뷰한다는 생각으로 자문자답하며 나의 JTBD를 정리해보면서 모두의 주차장 서비스를 알아보려고 한다.
2. 주차 = 스트레스
과거 나는 주차만 생각하면 육두문자가 나올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았던 기억이 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는데 그중 대표적인 3가지 이유와 상황을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1) 빠듯한 재정상황때문에 가격이 저렴한 주차자리를 찾아다니다.
과거 강남에 약속이 있어 차를 끌고 나가면 1시간당 6,000원 요금을 내는 것은 기본이었다. 3시간만 약속을 가져도 18,000원의 요금이 붙었다. 데이트를 할 경우에는 밥값 + 후식 + 주차비를 합하면 5만 원은 기본으로 나갔다. 대학생활을 하면서 차 유지비를 모으기도 힘들었는데 주차요금까지 나가니 스트레스와 짜증이 많이 났던 것 같다. 그래서 습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주차장을 찾아다녔다.
2) 주차장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
가격이 저렴한 주차장을 찾았을 때도 문제가 많았다. 황금시간 대의 서울권 주차장은 언제나 수요가 많았고 가격이 저렴한 주차장은 언제나 사람이 붐볐다. 그러다보니 막상 찾아가도 자리가 없어 다른 주차장을 찾아야 했다. 차를 아무 데나 세워놓을 수도 없는터라 같은 구역을 빙글빙글 돌며 주차장을 찾았다. 한 손으로는 계속 검색을 했고 그러다 보니 사고가 날 뻔한 적도 꽤 있다. 특히 가격이 싸더라도 약속 지역과 거리가 멀면 의미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거리와 가격이라는 기준을 모두 충족시키는 주차장 찾기는 정말 힘들었다. 이 때를 돌이켜보면 짜증과 스트레스를 넘어서 '힘들다'라는 감정을 느꼈다.
3) 하루를 망쳐버리는 주차장 찾기
그렇게 힘든 과정을 거치며 주차장을 찾은 후 약속에 가더라도 나의 상태는 이미 최악이었다. 주차장을 찾느라 에너지를 모두 써버린 탓에 금방 지쳤고 상대방에게 집중하기 힘들었다. 에너지가 없다 보니 금방 집에 가고 싶었고 그날 하루를 진이 빠져버린 상태로 보내곤 했다. 나는 원래 금방 지치는 성향이기에 약속 전 컨디션 관리에 크게 신경 쓴다. 하지만 주차장을 찾느라 에너지를 다 써버린 탓에 컨디션 관리가 무의미했던 경험이 많다. 주차장 때문에 하루가 망치는 경험은 최악의 경험이었고 그 어떤 감정보다 안 좋은 감정을 느끼게 하는 경험이었다.
3. 모두의 주차장 = 구세주
모두의 주차장은 크게 2가지 기능이 있다.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이나 건물 내 남는 주차자리를 싼 가격에 공유하는 공유주차장 기능과 가고자하는 지역의 다양한 주차장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기능이 있다. 특히 결제까지 처리할 수 있어 간편하게 예약을 할 수도 있다.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지도를 기반으로 가고자하는 지역의 주차장을 거리와 요금이라는 기준으로 비교해보며 찾아볼 수 있다. 특히 공유주차장은 시간당 1800원 정도로 아주 싼 가격에 주차를 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그에 따라 나는 출발 전 주차장을 미리 알아보고 가장 합리적인 가격에 주차장을 예약할 수 있었다. 만약 갑작스럽게 주차장 정보가 필요하더라도 어떤 걱정도 없이 모두의 주차장 서비스로 해결할 수 있었다. 나의 드라이빙 라이프의 큰 난관이 해결된 것이다.
4. JTBD
그렇다면 당시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의 나의 JTBD는 무엇이었을까?
Situation(상황) : 주차장을 찾는 상황
Motivation(동기) : 쉽고 간편하게 합리적인 가격의 주차장을 찾고 싶음.
Expected Outcome(기대효과) : 주차장을 찾는 데에 나의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다.
즉 이를 한 줄로 정리하면 나는 다음과 같은 JTBD를 가지고 있었다.
주차장을 찾을 때(situation), 쉽고 간편하게 합리적인 가격의 주차장을 찾고 싶었고(Motivation), 모두의 주차장 서비스를 통해 주차장을 찾는 것에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 것을 기대한다.(Expected Outcome)
'[PMB]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BM 8기]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로 살펴본 Justwatch(저스트워치) (0) | 2021.10.13 |
|---|---|
| [PMB 8기] 인터뷰 설계 (0) | 2021.10.07 |
| [PMB 8기] Z세대들이 열광하는 '잼페이스'의 페르소나 설정해보기 (0) | 2021.10.05 |
| [PMB 8기] 넷플릭스 시장 분석 (0) | 2021.10.01 |
| [PMB 8기] 전략에 대한 고심과 Netflix 이야기 (0) | 2021.09.29 |